small CMS 제작기, Static Link? 이상해
예전에 small CMS 제작기, static link 제작 이라는 글을 쓴 적이 있었다. 그리고는 시간이 흘러 구글 웹 마스터를 보다보니 표준 URL이 정상적으로
Teshi의 잡다한 생각들
예전에 small CMS 제작기, static link 제작 이라는 글을 쓴 적이 있었다. 그리고는 시간이 흘러 구글 웹 마스터를 보다보니 표준 URL이 정상적으로
최근 CMS 제작에 전혀 손을 안대고 있다가 약간의 짬이 나서 약간의 수정을 거쳤다. Python2 -> Python3로 변경하는 과정은 어렵지 않았다.
Continue readingMarkdown 기반 small CMS 제작기, Python2 -> Python3 전환 및 기존 기능 제거
기본적으로 이 페이지는 Python과 Flask로 제작되었다.기능을 차차 늘려갈 예정이라. 내가 가장 쉽게 쓸 수 있는게 뭘까 하다가 골랐다.기본적인 틀을 잡고
Continue readingMarkdown 기반 small CMS 제작기, Markdown 데이터를 GITLAB에서 가져오기
이전에 작성하였던 git 실시간 동기화는 아무래도 서버쪽에 부하를 주는지…아니면 GitLab이 느린것인지는 모르겠으나, 동기화에 시간이 걸려서 3-4초 정도 웹페이지 로딩이 걸리는
거창한 의미로 cache가 아닌 md 파일 렌더링을 저장하는 방식으로 cache를 구현하였다.구조는 진짜 심플하다. 해당 md 파일에 대응하는 html 파일 이
워드프레스를 버리기(?)로 마음먹고 여러 CMS(contents management system)을 찾아보았으나…. 사실 이래 저래 기능들이 붙다보니 무거운 것은 어쩔 수 없었다. 그래서 이래저래
블로그나 요즘 SNS를 보면 TAG는 기본적으로 지원하는 기능이다. (#태그도 태그에 포함되니) 그래서 small CMS에 Tag 기능을 넣고 싶었는데, 매번 글을
우선 순위를 벗어나서 프로그램을 작성하다보니, 중요한 기능을 하나 놓치고 간 것이 있어서 급히 제작해서 넣었다.기본적으로 이 CMS에서 POST는 ID 형태로
사실, 인스타그램 연동이라기 보다는 인스타그램 백업 및 노출이 맞는 표현인것 같다.인스타그램에서 찍은 사진을 보여주고 싶지만, 좋아요를 연동한다거나… 댓글을 가져오는 것은